전기차 감전사고 발생,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

김종훈 기자 ㅣ fun@chosun.com
등록 2024.04.08 11:16

[김필수 교수의 車스토리]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작년 후반부터 전기차 보급이 주춤하고 있으나 일종의 숨 고르기 기간인 만큼 앞으로 3~4년 이후에는 경쟁력을 다시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만큼 전기차 가성비는 하이브리드차 대비 낮은 만큼 이를 올리기 위한 노력이 더욱 가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중 전기차의 가격을 이른바 '반값 전기차'로 낮추는 작업과 충전인프라 부족 등이 가장 큰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전기차 부작용도 큰 만큼 얼마나 줄이느냐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중에는 전기차 화재를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물론이고 낮은 배터리 위치에 따른 침수도로 통과방법. 과속방지턱 통과 시 바닥을 충돌하지 않기 등 당연한 대비책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또 하나의 고민거리가 바로 전기차 감점 사고에 대한 대비책이라 하겠다. 물에 젖은 손으로 충전하지 않기 등 기본적인 규칙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전기차 사고 이후 차량 내의 누전으로 인한 감점사고를 예방하는 것도 핵심적인 대비책이라 하겠다.

최근내에서도 전기차 사고 이후 견인을 위하여 견인기사가 시동스위치에 손을 대다가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중환자실에 입원한 사례가 등장하였다. 아마도 국내 첫 사례가 아닌가 싶다.

국내에 등록된 차량은 약 2600만대 정도이고 이중 약 57만대가 전기차이다. 충전인프라는 약 25만기 정도이다. 아직은 그리 큰 수치는 아니지만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전기차나 충전기 모두 매우 높은 수치이고 머지 않아 더욱 많은 전기차 등이 보급될 것이 확실시 된다고 하겠다. 문제는 이러한 기하급수적인 증가대비 각종 문제에 대한 응급조치가 매우 미흡하다는 것이다. 즉 전기차 화재 등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비책도 약하고 내연기관차 대비 약 500Kg 무거운 전기차의 경우 리프트나 기계식 주차장에서의 무게로 인한 문제점, 타이어와 아스팔트 등의 마모도 증가 등 각종 문제점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전기차 누전으로 감전 사고는 얼마든지 등장할 수 있는 예견된 사안이라는 것이다. 대규모 배터리 용량과 함께 고전압과 대전류가 흐르고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곳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언제든지 비상상황에 따라 다른 곳으로 전류가 흐르면 바로 누전이 되고 화재나 감점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국내에서도 최근 전기차 사고 후 감전사고가 발생하면서 경각심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전에도 국내에서도 전기차 충전 중 사고도 발생한 경우가 있지만 전기차 사고 후 후속조치 중 감점사고는 처음으로 판단된다. 독일 등에서도 전기차 사고 후 쓰러진 탑승객을 구하고자 소방대원이 특수 장비를 장착하고 구조한 사례가 있다고 하겠다.

전기차는 바닥에 대용량 배터리가 있어서 일명 '움직이는 가전제품' 또는 '움직이는 생활공간'이라 부른다. 그 만큼 언제든지 문제가 발생하면 누전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필자는 항상 전기차 보급 시 침수도로 등을 통과할 때나 비오는 날 충전 등에 주의사항을 항상 언급했으며, 특히 전기차 사고 후 후속조치의 유의사항에 등에 대한 언급을 강조하여 왔다.

전기차 사고 후 전류 누전으로 인한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소방대원 등 구조대원은 항상 절연 장갑 등 특수 복장과 특수장비 등을 지니고 운전자 또는 탑승객을 안전하게 구조해야 한다는 점이다. 전기차 사고 시 탑승객이 쓰러진 이유가 감전으로 인한 문제인지 아니면 충격으로 인한 문제인지 외부에서는 알 수 없는 만큼 우선 그 심각성을 파악하라는 뜻이다. 그래서 국내 소방대원들도 항상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전기차량에 따른 전원 차단 스위치가 어디있는 지 어떠한 사고로 인한 상황인지 미리 파악하면서 사고 장소로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매번 업그레이드된 매뉴얼을 참고하여 전기차 종류에 따른 대비책이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테슬라의 모델X 등 후문이 일반 여닫이가 아니라 위로 열리는 팰콘 윙 도어 등의 특징을 파악하고 사고차량의 도어를 분리할 경우의 도어 힌지 위치 등 다양한 정보를 미리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역시 전기차 사고 이후 가장 중요한 사안은 골든타임 내에 모든 응급조치를 취하는 부분이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차보다 화재 발생시 불의 확산속도가 빠르고 온도도 높으며, 바닥부터 시작되는 만큼 탑승객의 골든타임이 짧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전기차 사고 이후에도 소방대원들이 응급장비를 갖추고 먼저 누전 여부를 확인하는 만큼 역시 골든타임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얼마나 체계적으로 줄이고 확실하게 탑승객을 구조하고 화재 확산 등 주변으로의 확산을 대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국내 소방청은 이미 지난 4~5년 전에 전기차, 수소차 비상조치 매뉴얼을 준비하여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등은 아직 글로벌 시장에서 짧은 역사를 지닌 만큼 가장 앞선 시스템을 갖춘 선진국은 아직은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선진 시스템을 갖추고 더욱 노력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매뉴얼 감수를 한 필자로서는 더욱 업그레이드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국산 전기차나 수입 전기차가 세롭게 출시될 경우 자사 차량의 메인 전원 차단 스위치의 위치 등 각종 정보가 입력된 자료를 소방청에 수시로 제출하여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전기차 사고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선제적 조치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혹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매뉴얼 참고문헌에 있는 자사 전기차의 특징을 미리 파악하고 서고 현장에 가면서 미리 숙지를 한다는 것이다. 현재도 소방청은 새롭게 등장하는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각종 비상조치 방법을 고민하고 교육하고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차의 판매가 주춤하고 앞으로 수년간 가성비를 높이는 노력은 중요한 계기가 된다고 하겠다. 각종 부작용을 줄이는 중요한 시간적 기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만큼 지금까지 전기차 보급은 너무 빠르게 전개되면서 각종 경착륙 요소가 크다고 할 수 있었다. 이 기간을 중요한 준비기간으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이번 전기차 감전 사고를 사례로 삼아 더욱 안전하고 확실한 매뉴얼과 대비책을 구축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인재라는 뜻이다.


최신기사


    최신 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산업 최신 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